도움글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정기/반기 신청일, 대상자 확인 , 지급일 총정리

정보의세계 2022. 9. 5. 21:03
반응형

 

 

근로장려금 제도란 무엇인가요?

열심히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 자업자(전문직 제외), 또는 종교인 가구에 대해 가구원 구성과 총급여액 등에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지급함으로써 근로를 장려하고 실질소득을 지원하는 근로연계형 소득지원 제도입니다.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근로장려금 신청자격은 먼저 국세청에서 제시하는 가구원산정, 총소득요건, 재산 이 3가지가 각 각 충족되어야 합니다.

1. 가구원 산정기준

① 단독 가구: 배우자와 부양 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모두 없는 가구

② 홑벌이 가구: 배우자의 총급여액 등이 300만원 미만 또는 부양 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구

 

③ 맞벌이 가구: 배우자의 총급여액 등이 300만원 이상 가구

 

2. 재산요건

등본상 기재되어 있는 가구원 모두의 현재 소유 중인 재산합계액이 2억 원 미만인 경우에만 신청 가능합니다.

대표적으로 알려진 재산인 주택, 토지, 건축물, 자동차, 전세금, 금융자산, 증권자산, 회원권 등이 있으며 재산가액에서 부채는 차감하지 않습니다. 단, 1억 4천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근로장려금 산정액의 50%만 차감돼서 지급됩니다.

3.소득요건

단독가구, 홑벌이가구, 맞벌이가구 기준에 따라서 연간 총 소득금액 이하인 경우에만 지급합니다.

기업에 재직 대상자 중 상여금을 받을 경우, 소득으로 인정되며 추후 심사에 검토가 이루어질 수도 있습니다.

가구별
연간 총 소득 금액
단독가구
2200만원 미만
홑벌이가구
3200만원 미만
맞벌이가구
3800만원 미만

근로장려금 신청이 불가한 경우

2021년 12월 31일 현재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지 아니한 자 (단,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자와 혼인한 자, 대한민국 국적의 부양자녀가 있는 자는 제외)

2021년 중 다른 거주자의 부양자녀인 자

거주자(배우자 포함)가 전문직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자

근로장려금 신청기간

2022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단, 2021년 기한 후 신청 대상자(2022년 5월 정기 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 : 2022년 6월 1일 ~2022년 11월 30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기한 후 신청대상자는 지급액의 90%만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2022년 근로장려금 상반기 반기 신청은 안내문자를 받은 분은 유선전화, 홈택스, 모바일 손택스로 신청 가능합니다. 만약, 안내를 받지 않았을 경우 홈택스에서 신청 가능하니 참고 바랍니다.

1. 유선전화

국세청 ☎ 1544-9944 → 『안내멘트에 따라 장려금 1번 → 주민등록번호 및 안내문에서 확인한 개별인증번호 입력』후 신청하기가 가능합니다.

2. 홈택스

국세청 홈페이지 접속 후 로그인 필수 → 『신청/제출 → 근로∙자녀장려금 신청하기 → 간편신청하기 → 신청요건 확인 → 인적사항/소득명세서/계좌정보 등 확인』을 통해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안내문을 받지 못했다면 "일반 신청하기"로 진행합니다.)

3. 손택스(모바일 어플)

손택스 어플 설치를 완료한 후 "국세청 홈택스"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합니다.

기타 : 전용 상담센터(☎ 1566-3636)을 통해 신청대행이 가능하지만, 정기신청(5월) 및 반기신청기간(3월, 9월) 중에 운영합니다.

 

1. 국세청홈택스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2. 국세청홈택스 홈페이지에 위치한 근로/자녀장려금을 배너를 선택합니다.

 

 

3. 반기 근로장려금 배너 중 신청안내문 대상자 또는 비대상자를 확인하고 배너를 선택합니다.

4. 근로장려금을 신청하기 위한 인적사항/소득명세서/계좌정보 등 입력하고 신청을 완료합니다.

 

 

 

근로장려금 지급액

가구별로 지급받을 수 있는 금액은 아래와 같으며 22년 근로장려금 상반기 반기 신청 대상자는 본인이 맞는 금액의 35%만 지급받고 나머지 금액은 하반기 반기 신청 후, 일괄 지급 받습니다.

가구별
최대 지급액
단독가구
150만원
홑벌이가구
260만원
맞벌이가구
300만원

 

반응형

// 목차 생성 $(document).ready(function() { $("#toc").toc({content: ".tt_article_useless_p_margin", headings: "h2,h3,h4"}); });